메뉴 강의견본신청 교수/강사자료
회원가입

헌법학
book rotate

헌법학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판수 제25판
저자 성낙인(저)
서울대학교 제26대 총장
ISBN 978-89-18-91591-3
발행일 2025-02-25
페이지수 1790면 / 정 18절판(양장)
정가 59,000원

서문/특징
목차/구성
저자/역자/약력

헌법학 제25판을 출간한다. 초판 출간 이후 4반세기에 이르렀다. 헌법학을 성원해주신 교수님들과 독자들에게 감사드린다. 25판에서는 20251월 현재 판례와 개정법률, 헌법학 관련 논저들을 충실히 반영하였다. 내용은 수정과 보완을 거듭하면서 업데이트하였지만 전체 분량은 최대한 현상유지를 하였다.

25판에서는 최근 법리논쟁이 제기된 대통령의 형사상 특권과 법률안재의요구권, 국회의 탄핵소추와 관련된 논의를 반영하였다. 또한 기본권의 주체, 방송의 자유 등도 대폭 가필하였다. 세계는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시대로 접어들면서 법제와 법이론에도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국회법, 정부조직법, 공직선거법, 정치자금법, 법원조직법, ‘각급법원의 설치와 관할구역에 관한 법률’, 헌법재판소법, 형사소송법, 민법, 국가배상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범죄피해자 보호법등 많은 법률이 제정개정되었다.

2024410일 제22대 국회의원총선거 결과는 충격적이다. 2022년 윤석열 대통령은 여소야대 상황에서 취임하였다. 그런데 제22대 국회는 1987년 헌법체제에서 사상 처음으로 단일야당이 의회에서 압도적 과반수를 차지하였다. 더불어민주당만 위성정당을 포함하여 175석을 확보하였다. 조국혁신당 등 군소 야4당까지 합치면 야당은 전체 192석에 이르고, 집권 국민의힘은 108석을 차지함으로써 개헌저지선과 대통령 탄핵소추저지선을 겨우 확보하는 데 그쳤다.

저자는 초판부터 87년 체제에서 두 개의 국민적 정당성의 축 즉 대통령과 의회 사이의 관계를 여섯 가지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의 경우 즉 대통령 재임 중 의회다수파를 단일야당이 차지하는 경우는 지금까지 가설로 남겨두었다. 그런데 그 가설이 현실화된 것이다. 22대 국회는 개원하자마자 대통령과 의회다수파 사이의 갈등으로 극단적인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야당은 대통령 배우자에 대한 특별검사법을 비롯하여 정부여당이 반대하는 법안을 통과시키고, 대통령은 법률안재의요구권을 행사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야당은 대통령 임기단축 또는 탄핵을 주창한다. 하지만, 1야당의 대표에 대한 사법리스크가 현실화되어 있다.

대통령중심제에서 분점정부가 현실화되었음에도 여야정 할 것 없이 이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려는 의지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 민심의 무서움과 무거움을 정치권은 명심하여야 한다(성낙인의 헌법정치, “민심은 천심”, 아주경제, 2024.10.25.). 조금만 더 숙의하면 여야 간에 대타협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4대 국정개혁 즉 노동연금교육의료 개혁과 국가존망이 걸린 인구절벽과 지역소멸 문제 등은 타협이 가능한 사안이다. 지난 1년 내내 국민들을 힘들게 한 의료개혁에 대하여는 이제 당리당략을 떠나 결단이 필요하다. 헌법재판소는 식물재판소가 되었다. 20241017일 임기가 끝난 소장을 포함한 3명의 재판관이 퇴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한동안 후임이 임명되지 않고 있다가 대통령 권한대행이 2명만 임명(2024.12.31.)하여 겨우 연명한다(성낙인, “헌법재판소를 마비시킨 정치권”(한국의 창), 한국일보 2024.11.6.).

그런데 이 혼돈의 와중에 윤석열 대통령은 123일 밤 비상계엄을 선포하였다. 45년 만의 비상계엄이라 전 국민이 아연실색한다. 87년 헌법 체제에서 그동안 쌓아 올린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를 송두리째 망가뜨렸다. 검찰총장이라는 최고위직 법률가 출신 대통령이 발령한 일이라 더욱 놀랍다. 대한민국 호의 건전한 발전에 치명상을 입힌 국가에 대한 충격말 뜻 그대로 쿠데타(coup d’État). 상당한 기간 모의가 진행되었음에도 그동안 단 한 명의 공익제보자 즉 워치독’(watchdog)이 없었다는 점이 뼈아프다. 그나마 불행 중 다행으로 국회는 즉각 계엄해제를 요구하였고, 대통령은 국회의 요구에 따라 이를 해제하였다. 연이어 국회는 전가의 보도인 대통령 윤석열 탄핵소추안을 한 차례의 기각 끝에 의결하였다. 이제 공은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으로 넘어갔다. 대통령의 직무는 정지되고 총리가 직무를 대행하는데, 총리도 탄핵소추되어 사상 처음으로 경제부총리가 권한대행을 하기에 이른다. 민주주의의 규범을 지키지 않는 무한정쟁이 낳은 비극적 결과이다. 외국학자의 표현대로 만일 한국에서 계엄이 성공하였더라면 전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나라에서 정변이 성공한 세계사적 기록을 세웠을 것이라고 한다. 선조들이 쌓아올린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성취한 위업을 하루아침에 퇴락시킨 역사의 죄를 짓고 말았다. 다행히 민주시민의 성원으로 탄핵정국은 안정을 찾아 간다(성낙인의 헌법정치, ‘12서울의 밤’, 법치 경제를 허물다, 아주경제 2024.12.26.). 운동권 가요 대신 K-Pop이 작동하고, 전 세계에서 답지한 선결제는 추위를 녹인다. 외신들이 전하는 시위문화도 이제 K-컬처가 되었다. 정말 시민들의 힘이 대단하다. 그에 비하면 현실의 대한민국을 이끌어가는 정치지도자들은 한참 못 미친다. 이제 상대방을 악마화하는 정치는 끝내야 한다. 불행한 역사 속에서 새삼스럽게 헌법학의 쟁점들이 부각된다. 대통령 권한대행의 직무범위와 탄핵소추 의결정족수 등. 탄핵정국은 한국 민주주의의 건전한 발전에 장애가 될 뿐이다. 87년 헌법 체제에서 벌써 세 번째 대통령 탄핵소추의결이다. 라틴 아메리카나 아프리카에서 일어날 법한 일들이 대명천지 21세 대한민국에서 벌어진다. 이제 87년 헌법은 천명을 다하였다. 7공화국 헌법을 제정할 때가 되었다(성낙인, 특별기고 대통령국회가 함께 책임지는 헌법이 필요하다”, 한국일보 2024.12.19.; “헌법 위기 극복과 여야정 대타협”(한국의 창), 한국일보 2025.1.1.).

한국공법학회는 전학선 회장이 취임하고 이희정 차기회장이 당선되었다. 한국헌법학회는 조재현 회장이 취임하고 서보건 차기회장이 당선되었다.

저자의 다른 저서 판례헌법,헌법소송론(공저자: 권건보정철전상현박진우허진성김용훈 교수),대한민국헌법사,헌법학 논집,헌법과 국가정체성,헌법개론,국가와 헌법(헌법총론정치제도론)․Ⅱ(기본권론), 韓國憲法學槪論(중국어판 번역: 蔡英浩朴大憲 교수)도 참조해 주시길 바란다.




서문/특징
목차/구성
저자/역자/약력

1편 헌법총론

1장 헌법과 헌법학

2장 헌법의 제정개정과 헌법의 변천보장

3장 국가의 본질과 국가형태

4장 대한민국헌법의 구조와 기본원리

 

2편 정치제도론

1장 정치제도의 일반이론

2장 국회

3장 정부

4장 법원

5장 헌법재판소

 

3편 기본권론

1장 기본권일반이론

2장 인간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추구권

3장 평등권

4장 자유권

5장 참정권(정치권)

6장 사회권(생존권)

7장 청구권적 기본권

8장 국민의 기본의무

서문/특징
목차/구성
저자/역자/약력

成樂寅(성낙인)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석사박사과정 수료

프랑스 파리2대학교 법학박사과정 수료(D.E.A.)법학박사(Docteur en droit)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영남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사법시험, 행정입법외무고시 및 군법무관시험 위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학장, 한국법학교수회 회장

한국공법학회 회장, 국제헌법학회 한국지부 회장, 한국법교육학회 회장

대통령자문 교육개혁위원회 위원, 국무총리 행정심판위원회 위원

국회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장, 국회 헌법연구자문위원회 부위원장

경찰위원회 위원장, 통일부 정책자문위원회 위원장

법무부 사법시험관리위원회 위원, 대검찰청 제도개선 위원장

동아시아연구중심대학협의회(AEARU) 의장

서울대학교 제26대 총장,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헌법학)

[주요 저서 및 논문]

헌법학논집(법문사, 2018), 국가와 헌법 (헌법총론정치제도론), (기본권론)(법문사, 2018)

헌법개론 제14(법문사, 2024), 헌법소송론 제2(공저, 법문사, 2021)

成樂寅 著, 蔡永浩朴大憲 共譯, 韓國憲法學槪論, 中國, 知识产权出版社, 2022

Les ministres de la Ve Réublique françise(Paris, L.G.D.J., 1988)

판례헌법 제4(법문사, 2014), 헌법과 국가정체성(박영사, 2019)

헌법과 생활법치(세창출판사, 2017), 대한민국헌법사(법문사, 2012)

프랑스헌법학(법문사, 1995), 선거법론(법문사, 1998)

헌법연습(법문사, 2000), 한국헌법연습(고시계, 1997998)

언론정보법(나남출판, 1998), 공직선거법과 선거방송심의(나남출판, 2007)

세계언론판례총람(공저, 한국언론연구원, 1998), 자금세탁방지법제론(경인문화사, 2007)

헌법판례 백선(법문사, 2013), 주석헌법(공저, 법원사, 1990)

만화 판례헌법 1(헌법과 정치제도), 2(헌법과 기본권)(법률저널, 2013)

우리헌법읽기, 국민을 위한 사법개혁과 법학교육(법률저널, 2014)

한국헌법과 이원정부제(반대통령제), 정보공개와 사생활보호 외 다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상단으로 하단으로
  • 회사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 취급방침 오시는길
  • 회사명 : 법문사 주소 : 경기도 파주시 회동길 37-29 (문발동)
  • 대표자 : 배효선 전화 : 031-955-6500
  • 사업자등록번호 : 105-99-21885 통신판매업신고 : 2012-경기파주-3606
  • 개인정보관리책임 : 배효선
고객센터
  • 031-955-6500
  • bms@bobmunsa.co.kr
  • 평일 : 09:00 ~ 17:00점심 : 12:00 ~ 13:00
  • 주말 및 공휴일은 휴무입니다.
  • Copyright©1952-2025 법문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