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서의 저술은 정책학분야에 초점을 두고 국가통치패러다임이 ‘정부에서 거버넌스로’ 이동하면서 등장하여 온 정책학문의 이론적 논의와 현실적용사례 측면, 즉 이론과 실제를 조화시키는 차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정책연구가 직면하는 주요과제는 정책탐구영역에 학문적 그리고 실제적 측면을 함께 위치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정책현상을 기술하고 설명하는 데는 이것의 숫자적 표현인 재정(예산)현상도 같이 논의를 하였다. 이러한 국가통치의 정책학 저술체계는 크게 국가통치로서 정책연구부분과 정책순환부분으로 나누어 총 14장으로 전개를 한다. 우선, 정책연구부분에서는 정책학의 학문적 토대와 영역, 가치, 그리고 이론진화와 접근방법을 논의한다. 이 부분의 내용으로는 제1장에서 공공부문과 공공정책 그리고 정책학의 필요성, 제2장에서 정책학의 의미와 목적 및 특성, 제3장에서 정책학의 영역, 제4장에서 정책학의 가치, 제5장에서 정책학의 환경과 진화, 제6장에서 정책학의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정책순환부분에서는 정책학의 통치모형을 토대로 정책환경, 정책체제, 그리고 정책과정으로 나누어 논의를 한다. 이 부분의 내용으로는 제7장에서 정치체제모형과 정책체제모형 및 예산체제모형(정치과정과 정책과정 및 예산과정), 제8장에서 정책환경의 범주(일반적 환경과 과업환경), 제9장에서 정책체제의 구성(제도와 행위자), 제10장에서 정책문제의 발생(정책의제설정), 제11장에서 정책의제해결책의 선택(정책결정), 제12장에서 정책의제해결책의 실행(정책집행), 제13장에서 정책결과의 검증(정책평가), 제14장에서 정책평가결과의 환류(정책학습과 정책변동)를 다루었다. 특히 저자가 국가통치의 정책학을 저술하는 데 중점을 둔 것은 지금까지 출판된 정책학 교과서들이 주로 외국의 이론과 개념 소개에 초점을 둠으로써 정책현실과 분리되어 있는 한계를 극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정책학이 1950년대 태동되어 2000년대까지의 시대환경흐름 속에서 진화하여 온 정부패러다임과 거버넌스패러다임의 정책이론을 체계적으로 기술하고 설명을 함과 동시에 정책학의 이론과 개념을 논의한 후에는 이에 적실한 현실사례를 접목하는 작업을 하였다. 이를테면, 국가통치로서 정책연구부분과 정책순환부분에서는 이론과 개념을 설명한 후에, 신문에 나온 사례와 그동안 진행된 저자와 학자들의 학문연구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이론과 현실의 연결은 학부와 대학원의 학생들과 전문가나 실무가들 그리고 일반시민이 한 국가의 통치 또는 살림살이의 핵심인 정책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여 예측을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본다.
제1부 국가통치로서 정책연구: 학문토대, 가치, 영역, 그리고 이론진화와 접근방법
제1장 공공부문과 공공정책 그리고 정책학의 필요성
제2장 정책학의 의미와 목적 및 특성
제3장 정책학의 영역
제4장 정책학의 가치
제5장 정책학의 환경과 진화
제6장 정책학의 접근방법
제2부 국가통치로서 정책순환: 체제모형,환경, 체제, 그리고 과정
제7장 정치체제모형과 정책체제모형 및 예산체제모형: 정치과정과 정책과정 및 예산과정
제8장 정책환경의 범주: 일반적 환경과 과업환경
제9장 정책체제의 구성: 제도와 행위자
제10장 정책문제의 발생: 정책의제설정
제11장 정책의제해결책의 선택: 정책결정
제12장 정책의제해결책의 실행: 정책집행
제13장 정책결과의 검증: 정책평가
제14장 정책평가결과의 환류: 정책학습과 정책변동
고려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정책이론전공)를 취득하고, 주요 학문관심분야로는 중앙과
지방의 조직영역과 정책영역이다.
<주요 저서>
한국지역발전의 진화: 맥락과 제도 그리고 정책(단독, 충남대학교 출판문화원, 2020)
협력거버넌스: 이론과 실제(공저, 대영문화사, 2019)
지방거버넌스와 지방정책: 네트워크관점에서 본 지방정책사례(공저, 다운샘, 2004)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