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에 법문사에서 간행한 졸고 「한국정치」 1판이 2016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어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2016년 말에서 2017년도 초반까지 한국정치과정은 대통령탄핵과 ‘촛불집회’와 ‘맞불집회’로 최고조의 역동성을 표출하며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대통령탄핵에서 대통령조기선거로 이르는 과정을 하나의 정치발전경로라고 볼 때, 이는 의회민주주의만으로 설명할 수 없으며, 참여민주주의라는 속성이 함께 논의되어야만 할 것입니다. 어느 누구도 시대의 흐름을 거역할 수 없습니다. 이것은 저와 윤성이 교수가 2013년 한국정치를 기획하던 당시에 ‘의회민주주의’와 ‘참여민주주의’라는 부분을 동시에 이해할 수 있도록 두 권의 단행본으로 별도 구성하되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읽히는 것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이 제법 긴요했음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선진민주주의 국가들의 정치발전을 논함에 있어서 ‘의회민주주의’만을 통해서 할 수 없으며, SNS 뉴미디어 시대에 두드러지는 ‘참여민주주의’의 속성이 동시에 논의될 수밖에 없습니다. 독자분들께서 두 권의 책을 읽어보시면 두 권에 나타난 ‘의회민주주의’와 ‘참여민주주의’의 논조가 역사적 사실과 분석 내지 과거로부터 현재의 흐름에 이르기까지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느끼실 수 있을 것입니다.
한국정치발전을 위해선 올바른 민주시민의식을 지닌 국민 개개인이 기반이 됩니다. 올바른 민주시민의식을 지닌 자는 공동체에 대한 공공의식을 지니고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을 갖는 사람들입니다. 이제 훌륭한 지도자가 되기 위해선 훌륭한 시민이 되어야 합니다. 더불어 살며, 함께 고민하고, 화합하고, 타협할 줄 알아야 합니다. 과거로부터 교훈을 얻어 현재를 꾸려가며 미래를 대비해야 합니다. 겸허히 배우는 자세를 잃지 않고 한국정치 2권의 단행본을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가겠습니다.
[통치구조․정당․선거]
제1장 통치구조
1. 입헌민주주의의 기원
2. 의회 민주주의와 제1공화국의 성립
3. 결론과 예상
제2장 정당·선거
1. 정 당
2. 선 거
3. 결론과 예상
제3장 이슈중심으로 비교관점에서 본 한국정치
1. ‘한국인’은 누구인가?: 한국인의 근원과 범위
2. 근대화 과정에 나타난 국제정치와 국내정치의 복합성: 인도, 중국, 그리고 한국
3. 왕조, 의회정치, ‘의원내각제’
4. 영토문제
5. 안중근의‘동양평화론’과 유럽연합(EU)
6. 프랑스와 한국의 정치과정 비교: 임시정부 및 이원집정부제
7. 한국정치과정에서의 ‘정치테러’
8. 붕당 대 정당
9. 헌법재판소와 ‘대통령제’
10. 남북문제
[민주주의․시민사회․뉴미디어]
제1장 민주화와 민주주의 공고화
1. 제3의 물결과 민주화 이행
2. 한국의 민주화 이행
3. 민주주의 공고화
제2장 민주화 이후 시민사회와 사회갈등
1. 민주화 이후의 시민사회
2. 이념갈등
3. 지역갈등
4. 세대갈등
5. 계층갈등
제3장 뉴미디어 시대의 한국정치
1. 뉴미디어와 정치 환경의 변화
2. 뉴미디어 시대의 정당과 선거
3. 뉴미디어 시대의 정치참여
제4장 어떤 민주주의를 할 것인가?
1. 대의민주주의의 한계
2. 뉴미디어와 민주주의
3. 뉴미디어 시대의 민주주의
진영재
경기도 안성에서 출생하여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였다. University of California, Invine에서 ‘15개 선진민주국가 선거정당사 연구’로 정치학 박사 학위(Ph.D)를 받았다. 2000년 이후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정치개혁팀 위원, 국회제도개혁을 위한 국회의장 자문위원, 국가정보원 자문위원, 연세대학교 국가관리연구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한국정치학회원이며 Oxford Round Table member, International IDEA member이기도 하다. 국내외에서 단행본과 연구논문들을 다수 출간하였다.
윤성이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공분야는 한국정치이며 최근에는 민주주의 형태, 사회갈등, 뉴미디어 정치 등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현재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세대 간 비교”, “Democracy in South Korea: Consolidated but in Deficit”, 저서로는 <전자민주주의> 등이 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