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들은 국가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그리고 국가 운영에서 행정은 가장 핵심적인 제도적 장치가 되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현대 국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행정학 이론들을 재해석하고 새롭게 구성하려는 것이 이 책이 목적이다.
21세기가 막 시작되던 2001년 초에 출간된 초판에서도 지적했듯이, 국가와 행정의 역할은 나라별로 그리고 시대별로 차이가 있다. 서구 나라들의 경우, ‘최소국가’와 ‘신공공관리’ 패러다임이 1970년대 말 이후 한 세대를 풍미했다. 그러나 2008년 미국 발(發) 경제위기를 계기로 세계 여러 나라들이 국가와 행정의 역할과 운영 방식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고 있는 중이다 (Jung, et al., 2010). 국가 역할에 대한 재고가 과거 20세기에 있었던 ‘큰 정부’로의 회귀를 의미하는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분명한 것이 있다면, 그것은 현재 지구인들이 불확실성의 시대에 살고 있으며, 앞으로 국가와 행정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암중모색하고 있다는 사실뿐이다. 한국의 경우, 국가 형성과 산업화 단계에서 국가와 행정이 매우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후기민주주의 그리고 전지구화의 시대에 새로운 국가의 역할과 그것에 걸맞은 새로운 행정 패러다임을 제도화해야 할 시점이다.
현실 세계의 국가와 행정은 학문 세계의 관련 이론과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화한다. 초판이 나온 이후 현실 세계의 변화와 더불어 국가이론과 행정이론 모두에서 많은 변화가 있었다. 이와 같은 변화에 부응하여 이 책의 개정판을 내야 한다는 지적(知的) 압박이 있었다. 지난 10여 년 동안에 전개된 현실과 이론의 변화에 대한 지적 관찰과 정리는 매우 벅찬 작업이다. 다양한 분야를 전공하는 열다섯 명의 행정학자들이 참여하여 개정판을 집필하게 된 이유이다. 집필자들은 모두 현대 국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행정학을 연구하고 강의해 온 학자들이다.
제1편 행정학의 기초이론
제1장 행정 및 행정학의 의의
제2장 행정학의 발달
제3장 국가이론 개관
제4장 행정학 연구의 목적, 이론유형, 접근방법
제2편 행정환경론
제1장 서 론
제2장 현대 국가의 역할과 형태
제3장 국가 규모의 변화와 그 원인
제4장 국정의 행정주도
제5장 신행정국가의 대두
제6장 새로운 제도설계와 발전국가
제3편 핵심행정부론
제1장 서 론
제2장 핵심행정부의 통제 주체
제3장 핵심행정부의 의사결정
제4장 한국 핵심행정부의 의사결정
제4편 행정기구론
제1장 서 론
제2장 다원주의 국가의 행정기구
제3장 개인주의 국가의 행정기구
제4장 엘리트주의 국가의 행정기구
제5장 마르크스주의 국가의 행정기구
제6장 준정부기구와 준비정부기구
제7장 결 론
제5편 관료제와 인적자원관리론
제1장 서 론
제2장 국가와 관료제
제3장 인사행정제도
제6편 국정관리론
제1장 서 론
제2장 거버넌스의 새로운 개념들
제3장 국가 내부에서의 거버넌스
제4장 문화와 거버넌스
제5장 국가-사회간 관계에서의 거버넌스
제6장 공공리더십
제7편 중앙-지방관계와 지방행정론
제1장 서 론
제2장 지방분권과 자치행정
제3장 중앙-지방간의 기능배분
제8편 공공정책론
제1장 공공정책의 의의와 유형
제2장 공공정책의 과정 및 수단
제3장 예산정책
제4장 규제정책
정용덕: 서울대 행정대학원 명예교수
김근세: 성균관대 국정관리대학원 교수
김윤권: 한국행정연구원 수석연구위원
김종성: 충남대 자치행정학과 교수
라휘문: 성결대 행정학과 교수
손희준: 청주대 행정학과 교수
엄석진: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
오성수: 한양대 행정학과 교수
유영철: 명지전문대 행정학과 교수
유현종: 보건복지부 서기관
윤영근: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수석연구원
임동완: 단국대 행정학과 교수
최천근: 한성대 행정학과 교수
최태현: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
하태수: 경기대 행정학과 교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