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판]은 총 5개 편 15개 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편은 GIS란 무엇이며, 어떠한 발달과정을 겪어왔으며, 또 앞으로 어떻게 발달해나가야 하는가를 전망하였다.
제2편에서는 GIS를 학습하는 데 있어서 선수적으로 이해하여야 하는 내용들을 다루었다. 특히 지도의 개념과 지도 투영법, 그리고 좌표체계에 대한 이론들을 소개하였고 공간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과 데이터를 입력하는 기초적인 방법들을 소개하였다. GIS가 기본적으로 수치지도를 이용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수치지도가 어떻게 구축되는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제3편에서는 GIS를 활용하는 데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부문인 GIS 데이터 모델과 데이터베이스 및 구축된 데이터의 품질관리와 표준화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GIS 데이터 모델의 가장 전형적인 벡터 데이터 모델, 래스터 데이터 모델, 수치지형모델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속성 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시스템 및 최근에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객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시스템 및 지오데이터베이스 모델도 소개하였다. 지리정보학 [제2판]에서 가장 크게 바뀌고 새로워진 부분은 제4편과 제5편이다.
제4편은 GIS의 공간분석과 공간통계를 다루었다. GIS의 기초적인 공간분석 기법에서부터 고차적인 공간분석 기법들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GIS가 다루는 공간 데이터의 특성을 이해하고 공간 데이터들의 분포 양상과 공간 패턴을 탐색하는 다양한 분석기법들에 대해서도 소개하였다. 특히 점 데이터의 패턴 분석과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측정하고 검정하는 방법들도 다루었다. 뿐만 아니라 공간 데이터들이 가지고 있는 공간 효과(공간적 의존성과 공간적 이질성)를 고려할 수 있는 공간계량모델의 개념 및 활용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제5편은 GIS 모델링과 의사결정지원시스템에 대하여 폭넓게 고찰하였다. GIS의 다양한 분석기능들을 통합한 GIS 모델링을 통해 고부가가치의 정보나 지식을 창출하는 사례들을 통해 GIS가 실제 세계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한편 공간적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개념과 목적 및 이론에 대해 상세히 소개하였고, 다기준 평가기법을 통한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나 지식을 어떻게 창출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최근 GIS는 복잡하고 상충적인 공간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서 이해관계자들과 지역주민들이 참여하여 합의를 도출해나가는 공공 참여적 GIS와 협력적 GIS를 지향해나가면서 GIS의 활용분야 및 패러다임의 변화를 주도해나가고 있다. 여기서는 주로 외국에서 활용되고 있는 공공 참여적 GIS 사례와 협력적 GIS가 어떻게 발달해왔는가를 고찰하였다.
마지막 단원에서는 계획지원시스템의 개념과 특성 및 활용사례를 살펴보았다. 계획지원시스템은 계획목표들 간에 상충성이 크고 이해관계 당사자들 간에 합의를 도출하기 어려운 계획들을 수립하는 경우 다양한 시나리오에 따른 시뮬레이션 과정을 통해 과학적 분석과 예측 관련 정보를 제공해주는 접근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GIS를 이론으로만 학습하여서는 학습효과가 낮으며 활용 능력도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반드시 실습을 통해서 이론에서 배운 개념과 기법들을 숙달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이 책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ArcGIS 10.0 버전을 이용한 GIS 실습을 통해 GIS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를 직접 조작하고 그 결과물을 산출하여 해석하는 능력을 신장시키고자 하였다. 전체 13개 실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습 내용들은 앞의 이론 부분에서 학습하였던 개념들과 기능들을 순차적으로 실습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사전에 ArcGIS를 다루어본 경험이 없는 독자들도 누구나가 실습을 따라서 학습하면 충분히 ArcGIS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1장 GIS의 특성과 활용분야
제2장 GIS의 등장 배경과 발달과정
제3장 지도의 이해와 지리좌표체계
제4장 공간 데이터 수집과 데이터 입력
제5장 공간 데이터 모델
제6장 표면 모델링과 수치지형모델
제7장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
제8장 데이터의 질과 데이터의 표준화
제9장 기초적 공간분석 기법
제10장 고차적 공간분석 기법
제11장 공간패턴 분석
제12장 공간계량모델
제13장 GIS 모델링
제14장 공간적 의사결정지원시스템과 공공 참여적 GIS
제15장 계획지원시스템의 특성과 활용
이희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B.A.)
미국 미네소타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M.A.)
미국 미네소타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Ph. D.)
(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교수
심재헌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B.S.)
건국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M.S.)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Ph. D.)
현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경제사회학부
지역정보 전공 BK 교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