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버넌스의 개념에 대한 ‘의미가 분명하지 않기로 악명이 높고, 사회과학자와 현장 활동가들이 모두 동의할 수 있는 정의자체가 없다’는 Pierre&Peters의 언급이나, ‘개념 정의의 모호함 자체야말로 거버넌스 패러다임의 성공요인’이라는 Schneier의 진단은, 거버넌스 개념의 모호함은 물론 그를 정의하는 것 자체가 얼마나 어려운지를 이야기할 뿐이다. 그만큼 거버넌스를 둘러싼 논의는 방대하고, 더욱이 일국적 체제에서 구축해야 할 거버넌스의 이상적 모델은 논란의 대상이 될 뿐이다. 이 같은 맥락에서 이 연구는 거버넌스의 개념, 특히 일국적 차원에서 건설해야 할 국가 거버넌스의 개념을 정립할 것을 목적으로 다양한 국내외 사례를 수집하는 한편, 거버넌스 패러다임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하여 한국 사회에 적실성 있는 모델이 무엇인지를 고민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 우리 연구진은 시론적으로나마 거버넌스의 구성요소와 현장에서의 작동 양태, 그리고 필요조건을 규범적 차원과 실천적 차원에서 궁구하고자 노력했다. 이러한 목적이 달성되었는지를 평가하는 것은 온전히 독자의 몫이겠지만, 우리 연구진은 이를 바탕으로 외국의 현실에서 파생된 거버넌스 패러다임이 한국의 정치 ․ 행정 시스템에 접목되어 더욱 바람직한 결과를 산출할 때까지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을 다짐한다. 그리고 비교적 짧은 시간에 가시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방학과 휴가를 반납하고 거듭된 토론에 참여하며, 서로의 시각을 교차시킨 열정과 헌신이 아무쪼록 이 책을 통하여 널리 확산되기를 희망한다.
PartⅠ 공공문제 해결과 국가 거버넌스
제1장 국가 거버넌스의 개념과 유형
PartⅡ 공공문제 해결과 사회적 자본, 그리고 신뢰
제2장 국가 거버넌스와 신뢰, 그리고 시민참여
제3장 사회적 자본과 정부신뢰
PartⅢ 공공문제 해결과 정부
제4장 공공문제 해결과 정부의 역할
제5장 사회적 기업과 정부의 역할
제6장 미국과 영구의 협력적 거버넌스 사례
PartⅣ 공공문제 해결과 기업
제7장 공공문제 해결 주체로서 기업의 역할
제8장 기업주도의 녹색성장 거버넌스
제9장 거버넌스를 활용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PartⅤ 공공문제 해결과 시민사회
제10장 서론
제11장 협력적 거버넌스에 인식차이와 전망
제12장 국내사례
제13장 외국사례의 장점
PartⅥ 국가 거버넌스의 평가
제14장 국가 거버넌스의 제 측면과 측정요소
박통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이명석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행정학 전공
배재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BK21
오수길
고려사이버대학교 교양과정
정규호
모심과살림연구소
곽병훈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센터
이승신
건국대학교 상경대학 소비자정보학과
이창범
한국인터넷진흥원 수석연구위원
은재호
한국행정연구원 사회통합연구부
이광희
한국행정연구회 국가경영연구부
양세진
기독교윤리실천운동 사무총장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