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40년과 2025년을 시계로 하여, 세계에 대한 미래전망을 기반으로 한국의 미래를 전망하여 한국의 비전과 정책과제를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한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정부의 역할과 정책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크게 4가지 주제를 아우르는 방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제2편에서 미래연구방법론의 주요 이슈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한국적 미래연구 방법론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미래연구방법론 부분에서는 한국의 전문가 외에 해외의 저명한 미래 전문가도 참여하여 방법론 고찰 및 미래연구에서의 정부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둘째, 제3편에서는 주요국의 미래연구 동향과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본 후, 국내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주요 국가 및 권역별로 지역별 전문가 그룹을 구성하여 국가 및 권역의 2025년과 2040년을 시계로 미래전망을 수행하였다. 각 국가 및 권역별로 수차례씩 회의를 개최하여 토의를 하였으며, 또 회의가 필요한 경우에는 수시로 학대회의와 집행위원회, 워크숍 등을 개최하여 토의 내용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기타 권역을 제외한 국가 및 권역별로 2025년을 기준으로 그 지역이 한국에 미치는 기회와 위협 요인을 분석하였고, 2040년의 글로벌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셋째, 제4편의 한국의 전망연구에서는 우선 밀레니엄 프로젝트의 SOFI를 벤치마킹하여 한국적 미래예측지수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2025년까지의 한국의 미래를 지수화 하였다. 이와 같은 계량적인 접근과 아울러 해외에 대한 미래전망과 동일한 방법으로 한국의 미래에 대해 STEEP 분야별로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한국의 미래에 대한 정성적인 전망 작업도 2025년과 2040년에 대해 수행하였다. 계량적인 미래전망과 결과와 정상적인 미래전망 결과를 참조하여 한국의 2040년의 4개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시나리오의 경우 국민들이 쉽게 이해하고 체감할 수 있도록 미래 한 개인의 일상사를 주제로 한 소설로 구성하였다. 또한 한국의 미래에 대해 전망된 주요 driving force를 기준으로, 국민을 대상으로 선문을 구성하여 국민이 생각하는 가능한 미래와 원하는 미래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제5편에서는 2040년과 2025년을 기준으로 한국의 STEEP 분야별 비전과 정책과제를 도출하였다. 특히, 2025년의 경우에는 제3편에서 해외의 각 국가 및 권역이 한국에 미치는 기회와 위협 요인, 제4편에서 한국이 가지는 강점과 약점을 감안하여 SWOT 분석을 염두에 둔 정책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각 분야의 정책과제를 도출함에 있어서도 우선 필요한 여러 과제들을 나열하였고, 자원 동원과 정부의 역할, 파급 효과 등을 고려하여 각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핵심과제를 선정하고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제1편 총론
제1장 연구의 의의와 내용
제2장 연구방법
제2편 미래연구방법론
제1장 정부의 미래예측
제2장 주요국의 미래연구 기법
제3장 한국의 미래연구 과정과 기법
제4장 기법과 과정의 장단점 논의
제5장 한국 미래연구방법론 모색
제3편 주요국 및 세계권역 미래연구
제1장 주요국의 미래에 관한 연구
제2장 글로벌 미래 트렌드 분석
제4편 한국의 미래연구
제1장 한국의 트렌드 분석
제2장 한국의 미래 시나리오
제3장 한국의 미래에 대한 인식조사
제5편 미래비전과 정책과제
제1장 2040의 비전과 과제
제2장 2025의 비전과 과제
제6편 결론
연구 책임자
황혜신 (한국행정연구원 수석연구위원)
류현숙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위원)
박경돈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위원)
서용석 (한국행정연구원 부연구위원)
이재호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위원)
최호진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위원)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