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형식적으로는 1999년에 출판된 「북한이해의 길라잡이」(서울: 법문사, 1997)의 개정 증보판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이해의 길라잡이」는 대학의 북한개론 과정에 교과서로 활용되었고 제목 그대로 북한이해를 위한 길라잡이로서 충분한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출판된 지 수 년이 지났고 그 기간 동안 남북관계나 북한체제의 변화가 적지 않았다는 점에서 책의 전면적 개편의 필요성이 제기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개정 증보판과 달리 책자 구성과 집필진 그리고 편제 자체를 완전히 바꾸었다는 점에서 이 책은 사실상 전혀 새로운 책이라고 할 수 있다.앞서 지적한 대로 이해하기 쉬우면서도 알찬 내용을 담고 있는 북한 개론서, 변화된 시대상황을 제대로 반영한 북한 개론서, 그리고 북한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종합적으로 조명해볼 수 있는 북한 개론서로서 이 책은 다른 책자에 비해 우월성을 갖는다고 감히 자부할 수 있다. 단순히 북한체제를 평면적으로만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시계열적이고 입체적인 방법으로 접근함으로써 북한체제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을 변화와 지속이라는 차원에서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고, 과거 북한연구에서 상대적 공백으로 남겨졌던 사회문화나 지방문제 그리고 북한연구방법론 등을 보완하는 데 노력을 기울였다는 것이 이 책이 갖는 또 다른 차별성이라고 할 수 있다.
전체 4부로 이루어진 이 책의 첫번째 부분은 북한 인식론과 북한연구방법론 그리고 자료 활용법 등 대학생들의 북한학 입문을 위해 필요한 기초분야로 채워져 있다. 2부는 북한이 과거에 걸어온 길을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북한체제의 형성 과정이라는 차원에서 정치, 대외관계 그리고 경제와 사회문화를 분야별로 정리해놓았다. 3부는 북한의 현재에 초점을 맞춰 오늘의 북한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주요 분야로서 정치체제, 경제상황, 주체사상, 군, 중앙-지방 관계, 사회체제, 대남정책 등을 분야별로 검토하였다. 마지막 4부는 향후 변화가능성과 관련하여 북한의 미래를 전망해 보는 부분으로서 권력교체의 가능성을 비롯하여 경제체제 전환과 사회문화적 전환의 가능성을 따져 보았고 나아가 향후 통일의 관점에서 연방과 연합의 문제와 지구화 시기 북한의 선택이라는 주제를 살펴보았다.
이 책의 집필에 참여한 필자들은 현재 해당분야 북한연구의 최고 전문가들이라고 감히 말할 수 있는 바, 바쁜 일정에도 불구하고 질 높은 북한 개론서를 만들어 보자는 본인의 요구에 선선히 응해주시고 기일에 맞춰 옥고를 보내 주신 것에 대해 심심한 사의를 표하고 싶다. 아울러 번듯한 책으로 만들기 위해 노고를 아끼지 않고 도와주신 법문사 관계자분들께도 최상의 고마움을 전해야 할 것이다. 물론 책을 마무리한 시점에서 보면 남는 아쉬움이 적지 않지만, 처음의 기대처럼 이 책을 통해 북한에 대한 올바른 이해, 더 나아가 남북의 화해협력과 한반도 평화의 정착 그리고 우리가 원하는 바람직한 통일 달성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Ⅰ. 올바른 북한 이해를 위하여
1. 북한은 우리에게 무엇인가?(박재규)
2. 북한 제대로 읽기(최완규)
3. 북한자료 읽기(김용복)
4. 문학을 통해 본 북한사회:‘고난의 행군’을 다룬두 편의 장편소설을 중심으로(김재용)
Ⅱ. 북한이 걸어온 길
1. 북한 국가와 유일체제의 수립(기광서)
2. 협력과 갈등의 대외정책(정규섭)
3. 북한의 사회주의 경제체제와자립적 민족경제건설노선(박순성)
4. 동원의 사회체제(김병로)
Ⅲ. 오늘의 북한
1.‘수령’과 당 주도의 국가관료체제(류길재)
2. 주체사상: 북한의 체제이데올로기(김근식)
3. 북한의 군사정책과 군사력(함택영)
4. 강력한 중앙집권과 자력갱생의 지방(김태일)
5. 경제위기와 개혁ㆍ개방의 모색(양문수)
6.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과 가치관의 변화:집단주의의 균열(함인희)
7. 북한의 대남정책과 남북관계의 변화(유호열)
Ⅳ. 북한은 어디로?
1. 새로운 지배세력은 가능한가(김영수)
2. 신경제 발전 전략의 과제와 경제개혁 모델(김연철)
3. 외부문화 유입ㆍ새세대 등장과 사회문화적 전환(이우영)
4. 연방제와 연합제 사이에서(양길현)
5. 지구화 시대 북한의 선택(구갑우)
박재규 경남대학교 총장 겸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
최완규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김용복 경남대학교 신문방송ㆍ정치외교학부 교수
김재용 원광대학교 한국어문학부 교수
기광서 조선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정규섭 관동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박순성 동국대학교 북한학과 교수
김병로 서울대학교 통일연구소 연구교수
류길재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김근식 경남대학교 신문방송ㆍ정치외교학부 교수
함택영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부총장
김태일 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양문수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함인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유호열 고려대학교 북한학과 교수
김영수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김연철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연구교수
이우영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양길현 제주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구갑우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