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평가의 시대로 불릴 만큼 공공부문의 정책과 사업에 대한 성과평가가 일상적이고 보편화되었지만 정책평가의 논리와 기법들이 제각각이다. 우리나라에 출간된 정책평가론 교재들이 나름대로의 특색과 장점을 구비하고는 있지만 다양한 점에서 약간의 아쉬움이 남아 정책평가론을 가르치는 교수들이나 연구하는 전문들, 그리고 배우는 학생들 모두의 지적 욕구와 실천적인 필요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함이 없지 않았다. 이에 여덟 분의 공저자가 여러 차례의 회합과 논의과정을 거치고 수정, 보완하여 집필한 정책평가론에는 정책평가의 이론과 실제에 임함에 있어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내용들을 포함하고자 노력하였다. 이 책은 저자가 정책분석평가학회 회장 재임 중이던 2006년도에 학회의 역점 사업으로 추진하기 시작한 총서발간사업의 산물이다. 총서발간사업위원장은 정주택 교수님께서 맡아 약 1년 반 동안 심려와 노고를 아끼지 않으셨다.
이 책의 구성은 개관(김종래), 정책평가의 절차(문영세), 정책평가의 논리(이성우), 정책평가의 방법(최영훈), 주요국의 정책평가제도(정주택), 정책평가의 쟁점(조연숙), 정책평가의 관리(김종호), 정책평가의 한계와 과제(이대희)의 8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괄호 안은 각 장별 책임집필자이다. 집필과정에서는 다음의 두 가지의 주안점을 가지고 집필에 임하였다. 첫째, 개념에 대한 명쾌한 정의를 한다. 타인의 정의를 나열하지 않고 책임 집필자의 판단에 가장 부합되는 단일 정의 또는 조합된 정의를 제시하고 이의 특성을 기술하면서 경쟁적 정의와의 관계성을 자연스럽게 논리적으로 제시한다. 둘째, 해당 주제 분야에 대한 간결하면서도 포괄적인 정리를 한다. 국내외에서 점증하고 있는 새로운 논의들을 대폭 수용하도록 최신 문헌들을 많이 참고하고, 최대한 원자료를 입수하여 인용하였으며, 해당 주제와 쟁점사항에 대한 경쟁적인 주장/논점들(contrasting arguments)을 제공하되 나열방식을 지양하고 분석적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관련 현상에 대한 이해하기 쉬운 예시도 제공한다.
제1장 개 관
제1절 정책평가의 의의, 목적, 역사
제2절 정책평가의 유형
제3절 정책평가의 기준
제2장 정책평가의 절차
제1절 정책평가의 일반적 절차
제2절 평가성 사정
제3장 정책평가의 논리
제1절 정책평가를 위한 인과적 추론
제2절 인과관계 추론을 위한 실험설계의 논리
제3절 정책평가의 타당성
제4장 정책평가의 방법
제1절 개 관
제2절 과정평가
제3절 실험적 방법에 의한 정책영향평가
제4절 준실험적 방법에 의한 정책영향평가
제5절 비실험적 방법에 의한 정책영향평가
제5장 주요국의 정책평가제도
제1절 외국의 정책평가제도
제2절 우리나라의 정책평가제도
제6장 정책평가의 쟁점
제1절 정책평가와 감사
제2절 정책평가와 윤리
제3절 정책평가와 시민참여
제7장 정책평가의 관리
제1절 정책평가의 활용
제2절 정책평가역량의 구축
제8장 정책평가의 한계와 과제
제1절 정책평가의 한계
제2절 정책평가의 과제
정 주 택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졸업
미국 아메리칸대학교 대학원 졸업(행정학박사)
제3회 입법고등고시 합격
국회사무처 행정사무관
지방이양추진실무위원회 위원
정책평가체제 연계방안 연구
현, 한성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김 종 래
한양대학교 행정학과 졸업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총무이사
한국정책학회 총무이사
“계약직공무원제도의 운영실태에 대한 분석(2003),” 한국정책학회보
“경기북부 접경지역 토지이용규제에 관한 연구(2005),” 한국정책과학학회보
현, 대진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김 종 호
고려대학교 졸업
University of Pennsylvania.(M.A.)
Maxwell School, Syracuse University(Ph.D.)
행정고시 및 지방행정고시 출제위원
행정자치부 정부혁신관리위원
서울특별시 투자심사위원
현대사회와 행정, 형설출판사; 비교행정론, 법문사; 정책사례연구, 경희대출판국
현, 경희대학교 사회과학부 행정학전공
문 영 세
서울대 경제학과 졸업 (경제학사)
서울대 행정대학원 석사과정 졸업 (행정학 석사)
서울대 대학원 박사과정 졸업 (행정학 박사)
국방대학교 부교수
현대재무행정이론(공저), 국방행정(공저)
현, 동국대학교 법정대학 행정학과 부교수
이 대 희
서울대학교 행정학 박사
정책 예측의 적합성 평가 :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을 중심으로(박사 학위 논문)
<정책가치론> <문화산업론> <한국의 행정사(공저)>
<한국적 인식론><한국정부론(공저)><한국행정론(공저)>
현, 광운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이 성 우
서울대학교 경영학 학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University of Pennsylvania, Wharton 경영대학원 Ph.D.
제6회 입법고시합격
한국행정연구원수석연구원
한국규제학회회장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회장
정책분석론의 논리와 방법(조명문화사)
현, 한성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조 연 숙
명지대학교 행정학과 졸업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졸업
Askew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y, Florida State University :
post-doctoral program, 2003 (한국학술진흥재단 지원)
복지서비스 기관 운영형태 다양화의 성과분석(한국행정학보, 2001)
지방자치단체 성과관리 실태 연구(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5)
현, 서울특별시 여성가족재단 정책개발실 팀장
최 영 훈
강원대학교 행정학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미국 시라큐스대학교 행정학과 석사 및 사회과학학과 박사
공공기술연구회 기획평가위원
행정외무입법고시 출제위원
한국공공관리학회 편집위원장
전자정부론(공저).
현, 광운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