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공부할 행정의 3대 변수라면 행정체제와 행정환경, 그리고 독립변수적성격을 갖는 인적자원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이제 우리도 해방 61년이 지났고, 거대정부(big government)시대에서 작고 효율적인 정부시대로 그 질적 변화시대를 맞게 되었다. 그러나 변함이 없는 것은 행정수요 중심시대에서 요구되는‘전문성’과‘행정은 봉사’라는 도식의 성립이다. 따라서 인사(人事)는 국정(國政)의 알파이며 오메가다. 여기서 인적자원관리를 정부학의 실천학문 차원으로 볼 때 이론과실제의 새로운 접목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이는 나라마다 다를 수 있는 행정문화와도 크게 상관 없이 인적자원의 형성·배분·활용·보존에 이르기까지 인사행정관리과정 중심으로 논리적이고 실증적인 이론체계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행정학을 전공하는 대학생, 대학원생은 물론공무원, 경영인 등 공사(公私)기관의 조직인 모두가 알아야 할 인사행정과 인적자원관리이론을 총체적으로 정리할 필요성을 느낀 바, 지난 40여년간 인사행정을 강의하면서 생각했던 내용들을 요약·정리하였다. 특히 본서를 집필함에 있어 저자는 아래와 같은 점에 주안점을 두었다.
첫째, 인사행정관리의 전반적인 내용을 가급적이면 간결하고 알기 쉽고 충실하게 소개하려고 노력하였다.
둘째, 최근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에서 제정·개정한 인사제도와 법령의 내용을 포함하여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최신이론까지를 담아「인사행정관리학」차원에서 경영마인드를 접목한 공사종합형(公私綜合型) 행정경영이론으로 접근하였다.
셋째, 우리의 행정문화와 행정수요의 총체적 질적관리를 중심으로 21세기에서요구되는 발전행정이론에 의한 인사행정관리이론을 체계화하려고 노력하였다.
넷째, 외국이론과 비교하면서 우리의 행정현실과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현 인사행정제도, 인사정책의 운영실태, 각국 인사행정의 특징 비교, 인력개발과제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개선책을 모색하였다.
다섯째, 세계화(globalization) 및 지방화(localization)에 적합한 국가경영(governance)주체로서의 인력관리이론 연구에 초점을 두었다.
제1장 인사행정관리의 본질
제2장 인사행정관리의 사적 전개
제3장 인사행정관리의 법령 및 기관
제4장 공무원의 종류와 공직분류
제5장 인적 자원의 확보: 채용
제6장 인적 자원의 개발: 교육훈련과 능력개발관리
제7장 인적 자원의 활용·유지: 사기
제8장 공직윤리와 부패
제9장 참여정부의 인사개혁
제10장 인사행정관리의 새로운 과제
신윤표
동국대, 경희대 대학원, 동경대 대학원 국비수학
(행정학사·행정학석사·행정학박사)
중앙공무원 교육원 교수
행정개혁위원회 자문위원
대통령 자문위원(제2건국위 상임위원)
대통령 자문 교육혁신위원회 위원
행정고시·외무고시 시험위원
동경대학 법학부 객원교수
숭전대 법경대학장
한남대 법정학부장
한남대 지역개발대학원장
한남대 대학원장
한남대 5대 총장
현, 한남대 사회과학대 교수
한국미래연구학회 회장
동북아평화와 발전포럼 회장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