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많은 나라들은 2000년 1월1일 0시에 새로운 천년을 맞이하는 흥겨운 축제와 다 채로운 행사를 벌였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2001년을 새로운 세기의 시작으로 보고 있 다. 2001년 신년 공동사설을 통해 북한은 "오늘 조선혁명은 희망찬 새 세기, 21세기 의 진군길에 들어섰다"고 밝혔으며, 지난 2000년을 "20세기를 빛나게 한 역사적인 해"라고 정의했다. 세계의 보편성을 따르지 않는 국가임이 다시 한번 입증된 셈이다. 어찌 보면 이러한 독특함이 연구의 대상일 수도 있고, 한편으로는 연구를 어렵게 하기도 한다. 제3판이 2001년에 탈고되어 2002년 초에 출판되었으니 훌쩍 4년이 지나버렸다. 많은 사람들이 기본 명제로 "북한은 변하지 않는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으나, 최근 몇 년 사이 북한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북한은 대내외 어려움 속에서도 체제유지와 경 제발전을 위한 전략을 수립, 정치ㆍ경제ㆍ사회를 이끌어가고 있다. 그 동안 일어났던 북한의 변화와 중요하게 생각하면서도 다루지 못했던 부분들을 중심 ㅇ로 제4판을 집필하였다. 이 책의 편제는 종전의 제13장 체제를 그대로 유지하되 몇 개의 장을 압축해서 다른 장으로 합치고 새로운 장을 추가 집필했다. 제4판 내용의 특 징은 "김정일 시대"를 중심으로 재편하고 서술한데 있다. 제1장은 변화된 부분 없이 보강만 하였다. 제2장은 기존 7절에서 언급했던 1972년 개 정헌법과 정치과정을 좀 더 자세히 설명했다. 김정일 시대의 권력구조나 권력승계 등 을 알기 위해서는 "김일성 유일체제"를 확립케 했던 "주석제"를 아는 것이 필요하다 는 생각에서다. 제3장의 4절은 김일성 사후 북한 경제의 현황은 어떻고 문제점은 무엇 인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기존에 조금 언급했던 변화와 발전전략의 문제는 제6장 으로 옮겨 상세하게 기술하였다. 제4장은 기존체제와 내용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되 선거부분을 보강하였다. 제5장은 다 시 썼다고 할 정도로 내용이 많이 바뀌었으며, 제3판의 권력승계에 한정해서 정치상황 을 분석했던 것에서 벗어나 1980년 이후 "김일성 영도, 김정일 관리체제"의 북한의 정 치와 사회를 개관하고 있다. 또한 전판의 제9장에서 논했던 "정치사회화"를 압축해 제 5장의 특색에 맞게 재구성해서 6절에 삽입했다. 제6장은 새롭게 추가한 장으로서 공식 적인 김정일 체제 출범 이후 정치와 경제를 두루 분석해놓았다. 정치면에서는 "선국정 치"와 경제면에서는 "7ㆍ1 경제관리개선조치"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다. 제7장의 주체사상은 원리와 내용을 설명한 뒤 그것이 가지는 의미를 설명하고, 변용 부문에서 제3판에서 논의하지 않았던 "붉은기 사상"을 정리해 놓았다. "7ㆍ1 경제관리 개선조치" 이후 북한 주민의 의식주에 변화가 일었는데. 제8장은 이렇듯 바뀐 북한 주 민의 삶을 상세하게 다루었다. 제9장 교육과 미디어 부문에서는 종전의 북한 교과서 내용 분석 위주에서 탈피해 전반적인 것을 개괄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고, 특히 북한 의 대학교육에 초점을 두었다. 미디어는 영화부분만 보충하였다. 제10장의 남북관계와 대남정책은 2000년 남북정상회담 이후 진행된 당국자 회담을 중 심으로 남북관계의 변화된 모습을 조명하였다. 특히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추가하 여 평화협정 문제, 군비통제 문제 그리고 여기서 발생할 수 있는 현실적인 문제들을 짚어 보았다. 제11장 대외정책은 특히 대미관계 분야를 부각시켜 논의했다. "핵 문 제"를 중심으로한 북미관계와 6자 회담의 과정을 여기에서 다루었다. 그리고 일본과 중국ㆍ러시아를 각기 절로 집필하면서 심층분석하였다. 제12장 통일정책은 마지막 절 로서 북한의 통일정책을 분석하고 "6ㆍ15 남북공동선언" 제2항의 문제를 심도있게 다 루었다. 제13장은 "평화번영정책"을 추가하는데 그쳤다.
제1장 북한에 대한 이해와 연구의 체계적 접근
제2장 정권수립과 김일성 유일체제 확립
제3장 경제계획과 경제상황
제4장 정치조직과 정치과정
제5장 권력승계와 정치사회화
제6장 김정일 시대의 선군정치와 경제전략
제7장 주체사상과 그 변용
제8장 주민들의 삶과 일상생활
제9장 교육과 매스 미디어
제10장 남북관계와 평화체제구축
제11장 대외정책과 핵문제
제12장 북한 통일정책의 전개와 변화
제13장 남북한 정치체제·정치과정·정치문화의 비교
전북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전북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정치학석사ㆍ박사) 전북대ㆍ원광대ㆍ전주대ㆍ우석대 강사 미국 미주리주립대학 교환교수 한국정치학회 편집이사, 총무이사 한국국제정치학회 상임이사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출판이사 한국정치ㆍ정보학회 회장 전북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