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는 지난 40여 년간에 걸쳐 고도의 압축적인 산업화를 이루었다. 이러한 한 국 경제의 고도성장은 기술·기능인력 중심의 양질의 인적자원의 풍부한 공급이 중요 한 요인이라는 점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정보화·세계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며, 지식 기반사회로 이행하는 21세기에는 또 다른 측면에서 인적자원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 다. 21세기는 경쟁과 협력, 네트워크의 사회이다. 과거의 양적인 인적자원개발에서 이제 는 질적인 인적자원개발로 전환되어야 지속적인 성장을 이룩할 수 있다. 인적자원개발 의 추진 체계도 이러한 사회경제적 여건의 변화를 반영하여 시장실패에 대한 보완과 더불어 정부와 민간의 새로운 형태의 유기적인 협력과 역할분담이 요구된다. 노·사· 정·교육훈련기관 등 인적자원개발 주체들간의 긴밀한 파트너십과 협력관계가 정립되 어야 한다. 그간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 나 우리나라 인적자원개발 관련 정책 전반을 조감할 수 있는 종합적인 저서는 거의 없 었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본서는 우리나라 인적자원개발을 분야별로 꼼꼼하게 짚 어보고, 21세기 변화된 사회경제 여건에서 필요한 정책방향을 제시할 목적으로 기획· 발간되었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인적자원개발 정책 관련 중핵 국책연구기관으로 1997년에 설립 된 이후 이 분야에서 수많은 연구 성과를 축적해 왔다. 본서는 그 동안의 이러한 축적 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인적자원정책 관련 전 영역에 걸쳐 문제점과 쟁점, 앞으로 의 정책 방향을 객관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본서는 총 5개 부, 서장과 21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는 우리나라 인적자원 개발의 역사성과 미래지향성을 고려, 인적자원개발에 관한 총론, 주요 주제, 현안 이 슈 등으로 대별하여 도전과 변화, 영역, 대상, 새로운 패러다임, 전략 순으로 구성하 였다. 또 각 장별로 세부 주제를 정하여 회고, 쟁점, 정책제언 등의 순서대로 내용을 일관성 있게 전개하였다. 제1부 ‘도전과 변화’에서는 인적자원의 구조와 특성, 인적자원정책의 전개과정을 분 석한다. 제2부 ‘영역’에서는 초중등교육, 직업교육, 직업훈련, 대학교육, 생애진로 개발지원, 자격에 대해 고찰하며, 제3부 ‘대상’에서는 과학기술인력, 여성, 청년, 중고령층, 취약계층을 다룬다. 제4부 ‘새로운 패러다임’은 총체적 학습사회, 인적자 원개발 파트너십, 학습조직,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학습사회와 e-Learning으로 구성되 며, 제5부 ‘전략’에서는 국가인적자원개발, 지역인적자원개발, 인적자원개발의 글로 벌화를 논의한다. 본서에서는 우리나라의 인적자원개발과 관련한 다양한 내용을 전문성을 유지하면서도 일반 독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집필하였다. 따라서 인적자원개발 정책 관련 실 무자나 학자, 연구자들에게 기본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대학의 관련 분야의 교재 나 참고서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005년 8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원 장 김 장 호
서 장 21세기 새로운 인적자원정책을 위하여(김장호)
제1부 도전과 변화
제1장 인적자원의 구조와 특성(오호영)
제2장 인적자원정책의 전개(김형만)
제2부 영역
제3장 초중등교육(정기오)
제4장 직업교육(정태화)
제5장 직업훈련(정택수)
제6장 대학교육(유현숙)
제7장 생애진로개발지원(진미석)
제8장 직업능력과 자격(이동임)
제3부 대상
제9장 과학기술인력(박재민)
제10장 여 성(장지연)
제11장 청 년(채창균)
제12장 중고령층(손유미)
제13장 취약계층(나영선)
제4부 새로운 패러다임
제14장 총체적 학습사회(김장호)
제15장 인적자원개발 파트너십(장홍근)
제16장 학습조직(이영현)
제17장 기업의 인적자원개발(주용국 이의규)
제18장 학습사회와 e-Learning(강경종 이수경)
제5부 전 략
제19장 국가인적자원개발(강일규 김형만)
제20장 지역인적자원개발(백성준)
제21장 인적자원개발의 글로벌화(백성준)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