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현실유용성의 강조 본서는 현실적 유용성이 크지 않은 내용은 싣지 않고 현장성이 높은 내용은 비중을 높여 싣고자 하였다. 따라서 예산결정이론이나 국민경제와 예산의 이론적 분석, 조세 이론의 분석, 기획과 예산의 이론적 내용 등 너무 이론적인 내용은 생략하였다. 그 대 신 현장성이 높은 정부회계와 정부회계시스템, 수지관리, 채권채무관리, 현금관리, 경 비분석 등에 대해서는 보다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자 하였다. (2) 기존내용의 중시 본서에서는 기존 교과서들의 공통분모적 내용을 가능하면 많이 싣고자 하였다. 이들 은 말하자면 공통필수적 내용이기 때문이다. 본서는 이러한 점에서 재무행정의 기초이 론에서부터 예산에 관한 일반이론, 예산과정론, 예산개혁론 및 조달행정론에 대한 내 용을 충분히 담고 있다. (3) 현장정보의 강조 현장위주의 지식과 정보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은 위에서 말한 현실유용성의 전제 조건을 실천하고자 하는 수단적 특징이다. 현실유용성은 공통필수적 내용에 있어서도 가능하면 재무행정의 현실을 실감할 수 있도록 그 내용을 꾸몄다. (4) 내용의 관련성 강조 지식습득은 진공상태에서 이루어지지 않는다. 보다 체계적인 내용의 연결은 효과적 지식습득의 요체라고 본다. 단순암기는 단순망각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체계적 이해와 연쇄적 지식습득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재무행정 전반에 걸쳐서 본서는 필요 할 때마다 주석으로 관련내용을 안내하였다. 독자들은 필요시 마다 단순히 진도에만 급급해하지 말고 관련내용을 체계적으로 대조하면서 읽어나가기를 바란다. (5) 난해하다는 재무행정에 대한 시각의 탈피 본서는 재무행정을 보다 쉽게 설명하려고 노력하였다. 대개 재무행정은 행정학 중에 서도 가장 읽기를 꺼려하는 각론 중에 하나임은 저자도 익히 알고 있다. 이 점을 간과 할 수 없어서 저자는 가능하면 쉽게 설명하려고 하였다. (6) 독자들에 의한 개정
제1편 재무행정의 기초 제1장 서 론 제2장 재무행정가와 재무행정조직 제3장 각국의 재무행정조직 제4장 재무행정 관련법규 제2편 예산일반론 제1장 예산의 의의 제2장 예산의 기능 제3장 예산의 범위와 통합재정 제4장 예산의 형식 제5장 예산의 원칙 제6장 예산이 종류 제7장 예산의 분류 제8장 예산이론 제3편 예산과정론 제1장 예산과정의 개요 제2장 예산의 편성 제3장 예산의 심의 제4장 예산의 집행 제5장 예산의 종료 제4편 예산개혁론 제1장 예산개혁의 개요 제2장 품목별예산제도(LIB) 제3장 성과주의예산제도(PB) 제4장 계획예산제도(PPB) 제5장 영기준예산제도(ZBB) 제6장 성과예산 제5편 조달행정론 제1장 조달행정개요 제2장 각국의 조달행정 제3장 우리나라의 조달행정 제4장 비축행정
황 윤 원(黃潤元) 중앙대학교 졸업(행정학학사)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졸업(행정학석사) 미국 피츠버그대 졸업(행정학박사) 미국 루지애나주립대 객원교수 한국행정학회 회장, 한국행정연구원 원장 청와대 사회정책비서관 행정고시ㆍ입법고시ㆍ외무고시 출제ㆍ채점위원 대통령소속 지방이양추진위원회 위원(현) 중앙인사위원회 정책자문위원(현) 중국 國家行政學院 명예교수(현) KBS 객원해설위원(현) 중앙대학교 대외협력본부장(현) 현재, 중앙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 저서 및 논문 > 정부개혁론(공저), 싱크탱크와 국가경쟁력(공저) 행정학원론, 지방재정학(공저) 지방재정론(공저) “21세기 국정운영시스템의 변화와 방향” “기업가적 정부개혁 패러다임의 한계와 21세기 개혁방향” “Government Reform Experiences in Korea: Privatization of the Local Services" "Reform Experience in Korea: Still Struggling, Not Yet Through" 외 다수 김 성 철(金聖徹) 한국외국어 대학교(경제학학사) 웨스트버지니아주립대(경제학석사) 웨스트버지니아주립대(정치학박사) 뉴욕주립대(빙햄톤캠퍼스) 강의전담교원 입법고시 출제위원 한국정부회계학회 교육이사 및 무임소이사 현재, 명지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 저서 및 논문 > 예산정치론 한국행정부의 경쟁력 강화방안(공저) Handbook of Global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공저) “한국행정부의 예산안 편성에 관한 연구: 중앙예산기관 공무원의 인식조사를 중심으 로”(공저) “조정교부금제도가 자치구간 재정적 불균형을 감소시키는 효과에 관한 연구”(공저) “자치단체에 대한 국정감사의 법적 한계와 역기능적 실태”(공저) “국회 예산심의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공저) 외 다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